‘5·18 진압상황 추정’ 옛 전남도청 나무서 탄두 발견
상태바
‘5·18 진압상황 추정’ 옛 전남도청 나무서 탄두 발견
  • /뉴시스
  • 승인 2021.04.13 17: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복원추진단 5발 추출,탄흔은 924개…“진실 밝히는 실마리”
문화체육관광부 옛 전남도청 복원 추진단이 13일 오후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 본관 서무과 주변에서 발견한 1980년 5·18 당시 탄흔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뉴시스
문화체육관광부 옛 전남도청 복원 추진단이 13일 오후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 본관 서무과 주변에서 발견한 1980년 5·18 당시 탄흔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뉴시스

 

[광주타임즈]옛 전남도청 건물에서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총기에서 발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탄흔 924개가 발견됐으며 이 중 5개의 탄두는 현장에 박혀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체육관광부옛전남도청복원추진단은 옛 전남도청 건물 일대 조사 결과, 탄흔으로 의심되는 흔적 총 924개를 발견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중 1980년 5·18 당시 도청 진압 상황을 추정할 수 있는 탄두가 10곳에 박혀 있었고 그 중 5발을 추출했다.

또 탄흔으로 추정되는 곳을 비파괴 검사 방법으로 형태를 분석한 결과 탄흔으로 추정되는 71곳을 발견했지만 현재는 수리·보수가 된 것으로 확인됐다.

잔존 성분 검사 등 추가 검증이 필요한 탄흔 의심 흔적 454개도 추가로 발견됐다. 나머지 389개는 못이나 나사못 자국 등 공사 흔적으로 판명됐다.

옛 전남도청 건물 외에도 1980년 당시부터 있었던 수목 중 본관 앞 은행나무 속에 3발, 회의실(또는 민원봉사실) 옆 소나무 속에 2발 등 탄두가 나무 속에도 박혀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옛전남도청복원추진단은 탄흔 조사를 위해 문헌, 구술, 당시 사진·영상 등으로 탄흔이 있었던 곳을 추정했으며 비파괴 과학적 방법을 동원했다.

국방부의 협조를 받아 사격장에서 당시 벽면과 같은 벽체를 만들어 탄흔 표본(샘플) 사격을 한 후 확보된 탄흔 표본과 현 벽체도 비교·분석했다. 이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을 통해 총탄의 성분 분석과 탄두 표면에 남아 있는 총강 흔적 등을 교차 확인해 엠(M)16의 탄두임을 증명했다.

옛전남도청복원추진단 관계자는 "이번 조사로 확인된 탄흔을 통해 시민(군)들의 최후 항쟁 직전과 직후 모습, 계엄군의 진압 동선, 진압 방식 등을 유추할 수 있었다"며 "5·18최후의 항쟁지였던 옛 전남도청이 품고 있던 그날의 기억과 진실을 밝히는 또 하나의 중요한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고 평가했다.

또 "이번 탄흔 조사의 모든 과정을 영상으로 담아 전시콘텐츠로 제작하고 옛 전남도청 복원 이후에 공개할 예정이다"며 "탄흔으로 확정된 10개의 흔적은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도록 처리하고, 나머지 탄흔 추정 흔적 71개와 의심 흔적 454개 등 흔적 525개에 대해서는 추가 조사와 검증을 진행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