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사과'…'윤창중 사태' 전환점 될까

취임 후 두번째 사과, 사태 '엄중' 인식 의미

2013-05-13     광주타임즈
[서울=광주타임즈] 조영준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이 13일 미국 방문 중 벌어진 윤창중 전 대변인의 성추문 사태와 관련해 전격 사과함에 따라 이번 사태가 진정 국면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될 지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공직자로서 있어서는 안 되는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해 국민 여러분께 큰 실망을 끼쳐드린 데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사과했다.

또 미국 동포 사회와 피해 인턴여성에게도 "이번 일로 동포 여학생과 부모님이 받았을 충격과 동포여러분 마음에 큰 상처가 된 것을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용서를 구했다.

◇당초 예상된 유감표명 수준 넘어서

박 대통령이 취임 후 공식석상에서 '송구스럽다'는 언급을 한 것은 지난 3월11일 새 정부 첫 국무회의에서 "세계경제도 위기인데 경제의 컨트롤 타워인 경제부총리도 안 계셔서 정말 안타깝고 국민 앞에 송구스럽다"며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 지연 사태를 사과한 이후 두번째다.

이는 당초 유감표명 정도의 언급을 할 것이란 관측을 넘어선 것으로 사실상의 임기 첫 대국민 사과와 동등한 수준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만큼 박 대통령이 이번 사태를 엄중한 위기로 인식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그동안 청와대는 사실관계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대통령의 공식적인 대국민 사과는 이르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이번 사태가 성추행 의혹에서 청와대의 귀국종용과 늑장보고 논란으로 확대되는 한편 윤 전 대변인 임명을 '1호 인사'로 강행한 박 대통령에게 책임론의 화살이 향하면서 전격적인 사과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윤 전 대변인 경질 후 사흘만에 나온 사과로 박 대통령도 이번 사태에 단호하게 대처할 것이라는 의지를 천명한 만큼 일단 들끓는 비난 여론을 어느 정도 진정시킬 만한 계기는 마련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성난 민심과 국정운영의 동력을 온전히 추스리기 위해서는 박 대통령이 이날 국민들 앞에서 약속한 ▲미국측 수사 적극협조 ▲관련자 문책 ▲청와대 공직기강 확립 등의 철저한 이행이 뒤따라야 한다는 평가다.

◇이 수석 사표 수리 및 추가 인책 관심

이 가운데 관건은 관련자 문책의 범위다. 박 대통령은 "관련자들은 어느 누구도 예외 없이 조사에 적극 협조해야 할 것이고 응당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사건발생 추정시각으로부터 약 하루 뒤에 박 대통령에게 관련 내용을 늑장보고하고 윤 전 대변인과 귀국종용을 둘러싼 진실게임을 벌인 이남기 홍보수석의 사의를 받아듣이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민주당은 허 비서실장을 비롯한 청와대 수석비서관 총사퇴를 요구하고 있어 이 홍보수석의 사퇴만으로 정치권의 반발을 잠재울지는 미지수다.

이 홍보수석만 사퇴하는 것은 '땜질식 처방'인 만큼 비서실 수장이 책임을 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번 사태의 본질을 인사검증의 실패라고 보는 시각에서 곽상도 민정수석의 책임론이 제기되기도 한다.

박 대통령이 "앞으로 이런 일이 생기면 관련 수석들도 모두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비서실 등 청와대 직원들이 공직 기강을 바로 세우도록 하겠다"고 언급한 점도 주목된다.

이는 이번 사태를 두고 청와대의 기강해이와 내부갈등, 위기관리 능력의 부재 등이 여실히 드러났다는 비판이 쏟아진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윤 전 대변인은 해외순방 수행 중에 밤 늦게 술을 마신 것은 그렇다고 쳐도 여성 대통령을 수행하는 공직자인데도 성추행 의혹에 휘말림으로써 국민들을 아연실색케 했다.

귀국종용 여부를 놓고서는 자신의 상관이었던 이 홍보수석과 서로 책임을 떠넘기는 볼썽사나운 모습을 연출했으며 이로 인해 청와대는 박 대통령의 방미 성과에 오점이 남는 것을 막기 위해 조직적인 은폐시도를 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이에 더해 이 홍보수석은 이번 사태를 자체적으로 무리하게 관리하려 들다가 늑장보고로 적절한 대응시기를 놓치면서 화를 더욱 키웠다는 지적을 받는다.

따라서 박 대통령이 이번 사과를 계기로 단행할 인적쇄신과 공직기강 확립의 강도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것이냐에 따라 이른바 '윤창중 사태'도 분수령을 맞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