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예방은 쓰레기 소각 금지부터
상태바
산불 예방은 쓰레기 소각 금지부터
  • 광주타임즈
  • 승인 2021.06.24 14: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주타임즈]영암소방서 현장지휘팀장 임홍태=누군가 쓰레기를 남기지 않는 물건을 만들거나 물건 사용 후 쓰레기를 남기지 않는 제품을 만든다면 가히 획기적이고 새로운 문명을 이룩해냈다고 칭송할 것이다. 이렇듯 우리가 제품을 사용하든가 또는 제품의 효용가치가 다하게 되어 남는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게 오늘날의 당면한 과제이다.

코로나-19라는 신종 전염병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사망자가 속출하고 국경폐쇄와 지역 간에 이동을 제한하여 새로운 사회시스템을 만들고 이로 인한 사회생활의 변화는 1회 용품 과소비의 악순환으로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를 가져오고 있다.

또한 폐기물 처리 방식이 재래식 농업에서 서구현대화로 소농에서 대농으로 또한 농촌인구의 탈도시화로 인해 열악한 일손 부족을 가져왔고 자본과 노동이 부가가치를 창출했던 산업사회에서 IT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사회로 급속히 변해 가고 있는 21세기를 살아가는 구성원들에게도 새로운 기계설비의 농업방식이 도입되더라도 논·밭두렁 태우기, 농부산물소각, 쓰레기소각이 쉽고 편하며 삶의 저변에 고착해 있는 생활방식을 고수하고 사회 상념으로 치부되어 폐기물 처리에 익숙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러한 단순하고 간편한 농업의 방식인 농업 부산물의 소각 및 논·밭두렁을 태우다가 산불로 번지는 일이 수시로 반복되어 수많은 재산과 인명피해가 발생해도 농업방식은 바뀌지 않고 있다.

과거 부농들 또한 식량증대의 수단과 부흥을 일으키기 위해 논·밭두렁 태우기, 농업 부산물의 소각을 한 방법으로 사용해 왔다. 이와 같은 방식이 후손들에게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효용을 다하는 폐기물의 효용가치를 단순한 골칫덩어리로만 치부하고 폐기방법을 여전히 재래적 방식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순수한 농경사회에서는 폐기물의 처리방식을 단순 소각이 아닌 농부산물과 들판의 무성하게 자란 풀을 태우거나 약품을 사용하여 제거하지 않고 손수 풀을 베다가 툇간에 차곡차곡 저장하여 숙성시킨 후 논·밭에 밑거름으로 사용하곤 했다. 농업경작 방식의 변화와 더불어 생활방식이 변화된 만큼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

매년 반복되는 습관적 소각행위, 부주의한 불의 사용은 산불로 확대되어 지구 온난화와 기상이변을 낳고 있다. 관계당국의 지속적인 계도와 캠페인 활동, 소방당국에서도 산림 인접지역 예방 순찰 및 쓰레기 소각으로 인해 소방차 출동시 과태료 부과 등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이제는 산불로 확대되는 주요한 원인인 논·밭두렁, 쓰레기, 농업 부산물 소각 처리 시스템을 개선하여 산불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