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전남도청 현판 무안 남악 도청에 설치
상태바
옛 전남도청 현판 무안 남악 도청에 설치
  • /박효원 기자
  • 승인 2020.04.08 17: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18탄흔’ 현판 복원…도청사 남문 앞 분수대에 설치
1980년 당시 전남도청에 걸려있는 현판 모습.                /우승희 전남도의원 제공
1980년 당시 전남도청에 걸려있는 현판 모습. /우승희 전남도의원 제공

 

[광주타임즈]박효원 기자=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총탄’ 흔적이 남아 있는 옛 전남도청 현판이 무안 남악 도청에 복원돼 설치된다. 

8일 전남도에 따르면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오는 5월15일 남악 도청사 남문 앞 분수대에 ‘옛 전남도청 현판’을 복원·설치해 제막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옛 전남도청 현판은 동판의 금속으로, 크기는 43×150㎝에 무게가 21㎏ 규모다.

이  현판은  1980년 5·18 당시 광주 동구 금남로 전남도청 정문에 부착됐다가 지난 2005년 10월 도청이 전남 무안 남악으로 옮길때 철거해 현재 전남도 기록물관에 보관중이다. 

공공기록물(행정박물)로 지정된 이 현판에 대해 전남도는 지난 2017년 7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감식을 통해 총탄 자국을 확인했다. 

당시 국과수는 현판에 난 7곳의 총탄 추정 흔적 중 1곳이 M1카빈 소총탄이나 권총탄의 충격에서 생성될 수 있는 형태의 흔적이라는 감정결과를 내놓았다 .

탄흔은 `전남도청’현판의 ‘전’ 자 ‘ㄴ’부분 우측의 손상 부위다. 

전남도는 이 현판을 실물크기로 똑같이 2개 복제해 이 가운데 하나를 이번에 도청 앞에 설치할 예정이다.

현판은 당시 금남로 도청사 앞 정문에 설치됐던 높이 310㎝ 규모의 문주(기둥)도 복원해 설치할 계획이다.

또다른 복제 현판 1개는 광주 옛 전남도청이 복원되면 설치한다는 복안이다.

전남도는 조만간 광주시에 현판식 전달식을 가질 예정이다.

현재 전남도에 남아있는 5·18민주화운동 관련 자료들이 극소수에 그치고 있는 가운데 당시 상흔을 고스란히 담고 있어 역사성과 상징성을 갖고 있는 옛 전남도청 현판이 복원됨에 따라 광주에 제한됐던 선양사업과 기념사업 등이 전남으로 확대되고 전국화하는데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당시 총탄 자국이 남아 있는 옛 전남도청 현판 등 5·18기념조형물을 현 청사에 건립할 계획이다”며 “이를 통해 전남이 5·18민주화운동의 중심이었음을 알리고 민주·인권·평화의 5월 정신을 계승해 더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