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이동권 보장·자립 지원 정책 요구”
상태바
“장애인 이동권 보장·자립 지원 정책 요구”
  • /뉴시스
  • 승인 2020.04.20 17: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주 장애인철폐연대 등 광주시청서 기자회견
교통문화연수원에서 시청까지 5개 저상버스 노선을 이용하는 퍼포먼스를 펼쳤다.
교통문화연수원에서 시청까지 5개 저상버스 노선을 이용하는 퍼포먼스를 펼쳤다.

 

[광주타임즈] 광주 지역 장애인 단체가 장애인의 날 40주년을 맞아 이동권 보장과 자립 지원 정책에 주력해달라고 행정당국에 촉구했다. 감염병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도 요구했다.

광주 장애인철폐연대 등 지역 장애인·인권·여성 관련 20개 단체는 20일 광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버스 타기 힘들고, 자립하기 어렵고, 감염병에 불안한 장애인과 가족의 하루는 달라진 게 없다. 장애인의 날을 기념할 수 없는 이유”라고 밝혔다.

단체들은 “광주시가 오는 2021년까지 추진하는 ‘장애인 이동 편의 증진 5개년 계획’만 지켰다면, 시내버스 10대 중 3대는 저상버스로 운용됐을 것”이라며 “현재 10대 중 2대만 저상버스다. 시장이 바뀌고, 정권이 교체돼도 제자리 걸음”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2017년 장애인도 지역 사회에서 함께 살 수 있도록 지원하는 ‘탈시설 자립 지원 5개년 계획’이 수립됐다. 하지만, 올해 광주시 장애인복지과 업무에서 탈시설 자립 지원을 찾아볼 수 없다. 행정의 연속성은 책에만 나오는 말처럼 느껴진다”고 비판했다.

단체들은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에도 장애인 감염 예방 정책과 자가 격리에 따른 지원 방안을 찾아보기 어렵다. 만약, 광주서도 장애인 중 확진 환자가 나올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고 꼬집었다. 

또 “장애인 복지관과 주간 보호센터는 지난 2월21일부터 휴관 중이다. 행정당국이 지난 2달 동안 장애인과 가족의 생활상을 파악했는지 묻고 싶다. 비장애인의 일상이 장애인에게 ‘요구안’이 돼선 안 된다. 장애인 감염병 예방책을 세심히 마련해달라. 저상버스 도입 공약과 탈시설 자립 지원 계획도 지켜달라”고 촉구했다.

기자회견에 앞서 차별철폐연대 소속 장애인들은 북구 일곡동 광주시 교통문화연수원에서 서구 치평동 시청까지 5개 저상버스 노선을 이용했다. 저상버스 부족으로 30분 이상 환승하지 못한 일부 장애인들은 ‘이동권 보장’을 거듭 요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