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재단, 지역언론 차별 심하다
상태바
언론재단, 지역언론 차별 심하다
  • 광주타임즈
  • 승인 2014.03.25 19: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주타임즈] 편집국장 김미자= 정부와 지자체 광고를 독점 집행하며 10%의 수수료를 챙기는 한국언론진흥재단(언론재단)이 지역언론을 차별해온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다.

언론재단은 지난 4년 반동안 단체지원사업을 진행하면서 재경언론에는 40억6천900만원(98.2%)을, 반면 지역언론에는 고작 7천400만원(1.8%)만 차별 지원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단체지원 심사과정에서 언론재단 경영진과 심사위원들이 몸담고 있는 단체와 협회 등에 매년 무더기로 지원한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전형적인 나눠먹기로 비판받아 마땅하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새누리당 염동열에 따르면 언론재단은 2013년 한해 신문광고 1천734억5천700만원을 포함 총 4천698억2천200만원의 정부광고를 독점 집행하고 약 470억원 규모의 수수료를 챙겼다.

특히 전체 신문광고 중 약 40%를 차지하는 692억2천600만원 규모의 광고를 지방자치단체와 지방공기업 등으로부터 받아 70억원의 수수료 수익을 거둬 들였다.

하지만 언론재단은 2010년이후 2014년 1차까지 약 4년 반동안 언론단체 지원사업을 해오면서 재경언론과 지역언론을 차별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언론재단 경영진은 이사장을 포함한 4명의 상임 이사, 5명의 비상임 이사, 1명의 비상임 감사 등 10명으로 구성돼 있고, 당연직 비상임 이사로 한국신문협회장,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장, 한국기자협회장, 한국방송협회장, 한국언론학회장 등이 참여하고 있다.

2014년도 1차 단체지원 사업도 기자협회, 신문협회, 신문방송편집인협회, 언론학회 등이 단체별로 평균 3~4건씩 수천만원을 지원받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모 심사위원이 몸 담고 있는 광고관련 학회와 단체 등 6곳도 지원대상에 선정된 반면 매년 40% 이상 광고를 하는 지역소재 언론단체는 겨우 1곳만 지원하는데 그쳤다.

정부광고 독점체제 등 언론재단의 이같은 행태는 위헌요소가 커 개선돼야 마땅하다.

현재 언론재단 경영진은 낙하산 논란을 빚은 이사장을 비롯해 상임·비상임이사 대부분이 중앙 언론인 출신이다.

이런 인적구성 때문에 지방언론의 열악한 환경 따윈 관심조차 없었던 모양이다.

이제 언론재단의 지역차별 횡포를 막고 지역언론을 대변할 수 있도록 이사진을 전면개편해야 한다. 수수료도 5% 포인트 인하해 한해 470억원의 수수료중 일부라도 해당 지역 언론에 되돌려 줘야 한다.

지역신문 차별을 막을 제도적 장치를 당장 마련해야 한다.

지역언론 광고 수수료를 착취하다시피 해 중앙언론을 먹여살린 언론재단의 비상식적 예산 집행은 반드시 바로잡아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