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탄소중립 2030년까지 9352억 원 투입
상태바
제조업 탄소중립 2030년까지 9352억 원 투입
  • /양선옥 기자
  • 승인 2023.04.05 17: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업부 ‘탄소중립 산업핵심기술개발’ 공고
총 사업비 9352억 원…올해 43개 과제 착수

[광주타임즈]양선옥 기자=정부가 ‘탄소중립’ 기술개발에 2030년까지 9352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2050년까지 산업 부문 탄소감축 목표 절반 이상인 1억t 이상을 감축하겠다는 목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탄소중립 산업핵심기술개발’ 사업을 5일부터 공고해 약 30여 일간 사업 참여 신청을 접수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에 따라 4대 다배출 업종(철강, 화학, 시멘트, 반도체·디스플레이)의 탄소중립 기술개발에 2030년까지 9352억원(국비 6947억원)을 투자한다.

수소환원제철, 화학공정 전기가열로, 혼합시멘트, 저온난화 공정가스 등 게임체인져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2050년까지 산업 부문 탄소감축 목표(2억1000만t)의 절반 이상인 1억1000만t을 감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4대 다배출업종의 대중소 기업들이 참여하는 그랜드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 참여 기업뿐만 아니라 비참여 기업에도 개발된 탄소중립 기술이 확산되도록 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참여 기업의 현금매칭율 비율을 완화(기존 대비 4분의1 수준)하고 연구자 참여(3책5공제도) 제한 등도 해제해 기업의 참여 부담을 대폭 덜었다.

올해는 우선 43개 과제에 국비 41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며 2030년까지 총사업비의 80% 이상을 실증 단계까지 투입해 개발된 탄소감축 기술들이 현장에서 즉각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먼저 철강 분야는 코크스(주원료 유연탄)를 투입하는 고로-전로 등을 대체하기 위한 수소환원제철, 하이퍼 전기로 등에 올해 11개 과제(국비 103억원)를 시작으로 8년간 총 2097억원(국비 1205억원)을 투자한다.

석유화학 분야는 탄화수소(나프타 등) 분해 공정의 탄소 저감을 위해 전기로 분해공정, 메탄의 석유화학 원료 전환 등에 올해 6개 과제(국비 89억원)를 시작으로 8년간 총 1858억원을 투자한다.

시멘트 분야는 석회석을 굽는 과정에서 다량의 탄소가 배출되는 점을 고려해 석회석 함량을 최소화한 혼합재 시멘트 개발, 유연탄을 순환자원으로 연료대 등 올해 10개 과제(국비 74억원)를 시작으로 8년간 총 2826억원(국비 1975억원)을 투자한다.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는 올해 16개 과제(국비 144억원)를 시작으로 8년간 총 2571억원(국비 1910억원)을 투자해 그간 식각·증착·세정 등 핵심 제조공정에 활용하던 불화가스 등을 온난화 우려가 현저히 적은 새로운 공정가스로 대체하고 이에 맞춘 공정기술까지 개발할 예정이다.

황수성 산업부 산업기반실장은 “고난이도 기술개발을 위해 당대 최고의 연구진과 함께 기술개발부터 실증까지 수행할 수 있는 역량 있는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하고 정부도 개발사업 참여자가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