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사랑기부금 쌓였지만…전남 지자체들 사용처 고심
상태바
고향사랑기부금 쌓였지만…전남 지자체들 사용처 고심
  • /양선옥 기자
  • 승인 2024.05.26 16: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인복지 등은 대부분 예산사업…정부지침도 제한적
전남 11개 시군만 확정…기금사업 아이디어 공모도
전남 고향사랑 활성화 워크숍./전남도 제공
전남 고향사랑 활성화 워크숍./전남도 제공

 

[광주타임즈]양선옥 기자=“노인복지 등 웬만한 사업들은 정부나 지자체의 예산사업으로 집행되고 있다 보니 새로운 고향사랑기부금 사용처를 찾기가 쉽지 않죠.”
전남 한 지자체의 고향사랑기부금 담당자의 하소연이다. 고향사랑기부금 시행 2년차를 맞아 지자체마다 모아둔 기금을 사용할 사업들을 찾고 있으나 마땅한 아이템을 찾지 못해 고민이 깊다고 뉴스1이 보도했다.

뉴스1은 26일 일선 지자체에 따르면 전남 22개 시군 가운데 올해 고향사랑기부금 기금사업을 어느 정도 확정한 시군은 11곳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목포시는 보호종료아동 자립준비교육비 지원(연간 100만 원), 나주시는 ‘100원 빨래방’ 운영사업과 반려동물친화도시 문화축제를 준비 중이다.

광양시는 국보인 중흥산성 쌍사자석등 제자리찾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담양군은 거동불편 어르신 병원동행 서비스와 상인공동체 활성화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보성군은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확대지원사업을, 영암군은 ‘엄니 극장 가시게’ 사업을 통해 어르신들의 영화관람을 지원하고 있고, 완도군은 ‘학교밖 청소년 자격증 취득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다.

곡성군과 영암군이 각각 2억 원이 넘는 기금을 투입해 지역에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채용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방문진료와 아이낳기 좋은 환경 조성에 나선 게 눈에 띄는 부분이다.

이들 지자체를 제외한 11곳의 지자체서는 여전히 기금사업을 확정하지 못했거나, 일부 지자체들의 경우 아직까지는 기금 사용보다는 확충에 전념하는 상황이다.

이처럼 지자체들의 고향사랑기부금 기금사업 발굴에 한계를 보이는 데는 법에서 정한 4가지 목적 안에서 지역특화사업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고향사랑기부금에 관한 법률’은 기부금으로 조성된 기금은 주민복리 증진, 지역공동체 활성화 사업 등에 쓰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사용처가 제한된 탓에 사업처 발굴 대신 고향사랑기부제로 모금한 기금을 쌓아두고 있는 지자체가 적지 않다.

그 때문에 목포시와 광양시, 보성군은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와 기부자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기금사업 발굴을 위해 기금사업 아이디어를 공모하기도 했다.

지자체가 기금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자 최근 농협이 나서 고향사랑기금사업 공모전을 개최했다. 기금을 활용해 농업·농촌에 실익을 줄 수 있는 사업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방식으로 진행한 공모에는 한 달 동안 300건이 넘는 아이디어가 들어왔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사용처 마련도 어렵고 경기침체 탓에 올해는 기부금도 줄고 고액기부자도 드물다”고 토로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