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오류 재발방지 혁신안 내놔야
상태바
수능 오류 재발방지 혁신안 내놔야
  • 광주타임즈
  • 승인 2014.11.25 19: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주타임즈]편집국장 김미자=대학수학능력시험 초유의 대형 사고가 터져 논란이다.

‘물 수능’인데다 2개 문항 출제 오류로 수시모집에서 최저학력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게 된 억울한 수험생들의 소송 등 후폭풍이 우려되고 있다.

수능이 도입된 후 복수정답이나 문제 오류가 인정된 것은 이번 수능을 포함 모두 5차례나 된다.

잇단 수능 오류와 관련 1994년 최초로 수능을 도입한 박도순 초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마저도 현재 방식으로는 불가피한 일이라며 근본적으로 수능 중심 선발제도부터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번 수능시험의 복수정답 논란에 대해 지금의 출제방식이나 출제상황, 활용방식 하에서는 어쩔 수 없었다고 한다.

출제자와 검토자들에게 주어진 시간이 제한적이고, 보안을 위해 매년 인사가 바뀌어서 출제기술이나 검토기술이 누적된 전문가가 없는 것이 문제다고 꼬집었다.

또 출제자들 역시 1, 2점으로 수험생의 합격 불합격이 결정되는 상황이라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것이다.

수능의 애초 목적은 전국 단위의 평가가 아니었다. 대학에서 학업을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언어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다루는 자격시험이었는데, 공교육정상화 기능과 선발고사로서의 성격이 동시에 요구되며 수능이 변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럴거면 학력고사에서 바꾼 의미가 없었던 셈이 된다.

작년 세계지리에 이어 2015년도 영어시험과 생명과학에서도 수능오류가 반복되자 황우여 교육부장관은 수능개선위원회를 만들어 수능 출제 및 운영체계에 변화를 주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는 근본적으로 학생선발 방식에 변화를 가져오지 못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가 없다. 수능시험 개편을 하려면 그 전에 입학전형제도가 어떤 모습일 건가를 좀 명확하게 해야 한다.

대학에서 수능을 선호하는 것은 전국을 대상으로 한 시험이 이것 밖에 없기 때문이다. 대학의 서열화, 우수한 학생을 뽑아 쉽게 교육하려는 대학의 성질을 잘 파악해 우선순위를 정해야 한다.

근본적으로는 수능 성적을 중심으로 학생을 뽑는 방법이 바뀌어져야 한다. 사회가 요구하는 것은 창의적 인재인데 수능이 실제로 그걸 다루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수능이 정권이나 장관 따라 너무 자주 바뀌어 일관성 부족이 오류의 또 다른 원인이 되고 있다. 때문에 수능의 성격 등과 관련된 권한을 평가원이나 다른 곳에 주어야 할 판이다.

그간 줄기차게 지적되고 있는 출제위원 간 학맥ㆍ인맥이 엄격해 문제 검토를 가로막는 ‘수능 마피아’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

일선에 있는 교사 보다 교수에 치중된 출제 위원 진 구성부터 개선하길 바란다.

더불어 해방 이후 40여년간 18번의 개편을 거듭하며 어렵사리 도출해 20년간 운영한 제도를 출제 오류 문제만으로 폐지 운운 하는 것은 또다시 혼란만 초래 할 뿐이다.

이번 기회에 수능 출제 과정의 각종 허점들을 보완하고 오류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혁신안을 내놓기 바란다.

또한 학벌보다는 다양한 재능이 인정받고 우대받는 채용 시스템 정착과 인식 확산이 시급하게 요구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