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취약지 ‘먹는물’ 비상
상태바
사회취약지 ‘먹는물’ 비상
  • 광주타임즈
  • 승인 2013.07.10 19: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주타임즈] 편집국장 김미자 = 여름철 고온현상으로 인한 각종 질병이 우려되는 가운데, 기초생활수급가구나 사회복지시설 등 사회취약계층의 음용지하수 상당 수가 먹는물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산강유역환경청이 지난 5월부터 두달동안 광주전남의 사회취약계층이 사용하는 지하수 관정 31곳을 대상으로 물을 채취해 수질기준 47개 항목을 분석했다.

이번 수질분석 서비스는 기초자치단체가 추전한 광주 3곳, 신안 5곳, 완도 3곳, 고흥 15곳, 보성 4곳 등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분석결과 36%인 11개 관정이 먹는물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수질분석결과 광주 3곳과 제주 1곳은 먹는물 기준에 적합했으며 기준을 초과한 11곳은 모두 전남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남이 상수도 보급률이 90.6%(전국평균 97.9%)로 최하위권에 속해 지하수 음용가구가 상대적으로 많고 비료와 축산분뇨 등에 의한 오염가능성이 상존하는데다 대부분이 수질검사를 하지 않아 먹는물 안전관리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농촌지역 지하수가 갈수록 중금속 등으로 오염되고 있어 오수와 축산폐수, 금속 세정제 등이 지하수에 유입돼 오염도가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농촌지역 먹는 물의 오염정도가 실제로는 이보다 더 심각할 것으로 보고있다. 2000년대 들어 무분별한 개발로 지하수 고갈과 수질오염이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간이 상수도에 물을 공급하는 저수용 탱크도 청소 등 관리가 제대로 안 된 경우가 많아 수질오염 우려가 높다.

상황이 이런데도 당국은 예산부족 등의 문제로 농촌지역 상수도 보급률을 단기간에 높이기는 힘들다고 한다.

상수도 보급률이 낮은 현재로서는 먹는 물에 대한 정기적인 수질관리를 실시하고 물탱크에 오염물을 투여하는 것을 감시하기 위한 폐쇄회로 설치 등도 필
요하다.

야산 등에 위치한 저수용 탱크는 민가와 멀리 떨어진 곳이 많아 관리도 잘 안 된다.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저수탱크에 대해 정기적으로 수질검사를 강화하고 소독약을 투약하는 등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농촌 전 지역에 상수도 보급이 완료되면 먹는 물의 안전성 문제는 상당부분 해소된다.

특별예산을 확대해서라도 농촌지역 상수도 보급률을 획기적으로 높여야 한다.

특히 기초생활수급가구나 사회복지시설 등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배려는 더욱 세심히 신경써야할 대목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