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 두달’ 광주병원들 한계…생존 위해 ‘협업’
상태바
‘의정갈등 두달’ 광주병원들 한계…생존 위해 ‘협업’
  • /뉴시스
  • 승인 2024.04.14 16: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남대·조선대병원 안과 응급진료 협업…소아청소년과도 논의 중
병상가동 80%→50%대 ‘뚝’…PA·공보의 등 대체 인력에도 공백 커
종합병원 19곳 건재, 연쇄붕괴 막아…총선 여당 참패에 해법 찾나
119구급대가 광주 동구 전남대병원 응급실로 환자를 이송하고 있다. /뉴시스
119구급대가 광주 동구 전남대병원 응급실로 환자를 이송하고 있다. /뉴시스

 

[광주타임즈]의과대학 정원 증원을 둘러싼 정부와 의사단체간 갈등이 두달째를 맞지만 뚜렷한 해결 기미 없이 과부하만 커지고 있다.

광주 지역 주요 병원은 비상 진료 체계 장기화에 따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일부 진료과 협업 등 고육지책을 꺼내들었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광주시는 광주·전남 유이 상급종합병원(대학병원)인 전남대병원과 조선대병원, 지역 대표 2차 의료기관인 광주기독병원과 지역 의료체계 협력 방안을 수시 논의하고 있다.

특히 생명을 잃을 수도 있는 응급 중증 환자의 수술과 진료에 있어서는 각 병원이 긴밀한 연락 체계 구축을 통해 전향적으로 협력키로 했다.

안과 응급 환자 진료·수술은 전남대병원과 조선대병원이 나눠 맡기로 했다. 일주일에 이틀은 조선대병원 권역응급센터에서 안과 진료를 전담하고 나머지 일자 진료도 두 병원이 긴밀히 협의한다.

필수 진료과지만 인력난이 심각한 소아청소년과에 대한 협업 체계 구축도 논의가 활발하다.

전남대병원·조선대병원의 최근 병상 가동률은 각기 평균 50% 초반인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두 병원은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한 각 병원 전공의들이 지난 2월20일 집단 사직·이탈하기 앞서 지역 의료체계의 중추로서 병상 가동률이 평균 80%대 안팎이었다.

그러나 전공의에 이어 전임의(팰로우)·인턴(수련의) 신규 충원 역시 크게 밑돌았고 비응급 병동 통폐합·축소 운영에 들어가면서 병상 가동률이 급격히 떨어진 것이다.

수술 역시 중증 응급 환자에 국한, 대부분의 수술실이 잠정 폐쇄 상태다.

외래 환자 역시 평소와 비교해 전남대병원은 20%, 조선대병원은 10%씩 줄었다.

전문의(교수)와 진료 지원 간호사(PA) 중심으로 정부의 공중보건의·군의관 파견 대체 인력까지 더해 비상진료체계를 꾸렸지만 공백은 쉽사리 메워지지 않고 있다.

수련 교육 중인 전공의·전임의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상급종합병원의 기형적인 인력 구조 탓이다.

환자 곁을 지켜온 ‘최후의 보루’ 의대 교수들마저 속속 체력적 한계에 봉착했다. 광주 소재 한 대학병원에서 자체 조사한 결과 병원을 지키고 있는 의대 교수 평균 근무시간이 한때 주 80시간을 넘어서기도 했다.

교수 중 일부는 사직서를 이미 제출한 채 법정 근로 시간 만큼만 근무하면서 수술 연기·취소 사례도 종종 발생한다.

3차 의료기관인 대학병원이 제 역할을 하기 힘들면서 지역 2차 의료기관인 종합병원도 더욱 중요해졌다. 의정갈등 초반 일었던 연쇄 과부하 우려와 달리 광주 2차 의료기관의 운영 실태는 안정을 되찾았다.

4월 첫째주(1~5일) 광주 소재 종합병원 19곳의 중환자 수는 평균 102명 꼴이었다. 같은 주 평균적으로 비응급 입원(일반) 환자는 3823명, 외래 환자는 1만2027명이었으며 수술의 경우 249례였다.

지난달인 3월에도 한 주 평균 중환자는 100여명 안팎, 일반 환자는 3700~3800명대, 외래 환자는 1만1900명~1만4900명대 수준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종합병원에서 시행된 수술도 236~281례를 오갔다.

전공의 집단 이탈 전인 지난 2월 셋째주 종합병원들이 수용한 평균 환자 수와 비교해 큰 폭으로 늘지는 않았다.

통상 지역 종합병원 19곳이 한 주 평균 진료하는 중환자는 119명이다. 일반 환자는 4500여명, 외래환자는 1만4968명에 수술은 281례 수준이었던 만큼 의정 갈등 계기로 큰 혼란은 아직 없는 것으로 보건 당국은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의정 갈등 장기화 또는 확전의 경우에는 의료체계 연쇄 붕괴 우려가 현실화될 수도 있어 보건당국은 정부와 의사단체간 대화에 예의주시하고 있다.

전국 의대 교수들이 조속한 사태 해결을 촉구하며 사직 집단 행동까지 불사했지만 해결 기미는 여전히 없다.

의대 2000명 증원 계획에 따른 각 대학별 증원 규모만 배당 됐을 뿐 교육 인프라 구축 지원 등 후속 대책은 답보 상태다.

최근 22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결과에 따른 타협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관측되지만 불투명하다.

의료계 일각에선 이번 총선 결과로 정부의 의대 증원 규모도 2000명에서 조정할 수 있다고 관측한다. 의정 갈등이 극으로 치닫자 윤석열 대통령과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이 한 차례 만나 대화했지만 입장 차만 확인했다.

그러나 야당이 총선에서 승리하면서 정부가 의대 증원 추진 동력을 잃은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집권여당의 총선 패배요인으로는 의정 갈등 출구전략 부재가 꼽히는 만큼 증원 규모 조정 또는 연기 등 다양한 경우의 수를 열어놓고 전향적 대화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더 커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