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0년, ‘분단 70년 마감’에 기여하는 명예로운 보훈
상태바
광복 70년, ‘분단 70년 마감’에 기여하는 명예로운 보훈
  • 광주타임즈
  • 승인 2015.01.22 14: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주지방보훈청 보훈과 배상현
우리 민족은 오랜 역사를 이어오는 동안 숱한 시련을 겪고 안팎의 도전을 받았으나 이에 굴하지 않고 극복해 온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일제의 강제 침탈시기 순국선열들은 소중한 목숨을 조국 독립을 위해 바쳤다. 또한, 6?25전쟁 때는 꽃다운 젊은이들이 조국을 위해 하나밖에 없는 목숨을 기꺼이 바쳤고 월남전 때는 머나먼 이국땅에서 값진 피를 쏟았다.

이분들의 고귀한 살신성인의 정신이 있었기에 오늘의 발전된 대한민국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광복이 된지 70년, 6?25전쟁이 발발한지는 65년이 되어 일본제국주의의 만행과 6?25전쟁의 비극을 기억하는 사람이 점점 줄어들고, 젊은 세대들에게는 수능성적이나 취업 등 눈앞의 문제들 때문인지 하루가 다르게 국가보훈과 호국정신 함양에 대한 관심이 약해지고 의미도 퇴색되어 가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국가보훈처에서는 역대정부 최초로 ‘명예로운 보훈’을 국정과제로 채택하여 지난 2년간 국가유공자에 대한 물질적 보상과 정신적 예우를 동시에 추진하고, 제대군인 일자리 5만개 확보를 범정부적으로 추진하며, 정전 60주년 계기 미국 등 UN참전국과 보훈외교를 강화하였고, 「국가보훈기본법」을 개정하여 국민 애국심 함양 업무를 추가하는 등 명예로운 보훈과 국민 애국심 함양 기반을 구축하는 추진성과를 냈다.

앞서 말한바와 같이 올해는 광복 70년이 되는 해이다. 이를 계기로 분단 70년 마감을 위한 국민 공감대 형성이 가능하고, 보훈외교를 통한 UN참전국과의 국제적 지지기반 마련,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 통진당 해산 등 평화통일 추진여건은 조성하였으나, 북한은 김정은 체제의 불안정과 국제적 고립 등으로 대남전략 추진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통합을 저해하는 사회갈등은 계속될 우려가 있어, 금년도 정책여건은 분열지속이냐 통일로 나아가느냐의 갈림길에 서 있다.

따라서 국가보훈처에서는 분단 70년 마감을 위한 국민 애국심 함양을 위해, 나라를 어떻게 찾고 지켰는지, 한미동맹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북한의 대남전략이 얼마나 위험한지, 통일은 왜 대박인지를 국민들에게 올바로 알려서 국민의 하나된 마음으로 미래로, 통일로 나아가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금년도 업무를 다음과 같이 추진할 계획이다.

첫째, 명예로운 보훈업무를 통해 애국심을 함양할 계획이다. 광복 70주년 기념사업은 국권 상실의 교훈, 국가의 소중함을 상기하는 사업으로 추진하고, 6·25전쟁 65주년 상기 및 계기행사는 분단과 전쟁발발의 원인을 알리는 상기행사로 실시하며, 특히 호국영웅 알리기 프로젝트는 우리고장 출신 전투영웅 추모 시설을 설치하고, 학교별 선배 전사자·학도병 등의 명비를 설치하며, 공공기관 청사 회의실에 호국영웅 명칭부여 등 우리 정서에 맞게 호국영웅을 선양해서 지역별, 학교별 호국영웅을 알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둘째, 국가를 위한 공헌에 부응하는 예우 강화를 실천할 계획이다. 국가유공자 보상금은 사회지표보다 높은 수준으로 인상하고 특별한 희생에 대해서는 추가 보상하며, 제대군인들의 원만한 사회복귀를 위한 일자리를 7천 5백여 개를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양질의 일자리 발굴을 위한 우수기업체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제대군인에게 ‘감사와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회분위기를 조성하는 등 국가유공자는 명예롭게, 제대군인은 행복하게 함으로써 국민 호국정신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나라사랑교육을 통해 애국심을 함양할 계획이다. 나라사랑교육을 통해 한반도의 전쟁억지를 보장하고 정부예산을 경제발전과 복지에 더 많이 투자할 수 있으며, 젊은이들은 북한대비 짧은 군복무 등 한미 군사적 보장장치가 주는 이점을 알리고, 북한은 갈등과 분열로 한미동맹을 해체하고 연방제 통일을 획책하고 있음을 알릴 것이다. 또한 통일이 되면 경제가 재도약되고 Korea Discount가 해소되며, 국민통합과 국력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해 지는 등 그야말로 대박임을 국민에게 알려 통일에 대한 공감대도 형성하도록 할 것이다.

교육은 백년대계(百年大計), 문화는 천년대계(千年大計), 보훈은 만년대계(萬年大計)라고 한다. 선진 일류국가 건설을 위한 국가보훈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국가유공자의 예우와 지원을 통한 기존의 보훈정책과 더불어 국민의 애국심 및 안보의식을 고취할 수 있는 명예로운 보훈 정책이 하나가 될 때 비로소 가능하다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