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서운 블랙아이스 운전 예방법
상태바
무서운 블랙아이스 운전 예방법
  • 광주타임즈
  • 승인 2015.02.02 17: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황경수 북부경찰서 교통안전계
겨울철 도로위의 암살자 블랙아이스(Black Ice)를 아시나요?
블랙아이스는 검정색 얼음이 아니라 빗방울이 도로에 떨어지는 순간 얼어붙는 어는 비(freezing rain)로 겨울철 공기중의 매연, 먼지 등과 뒤엉켜 투명한 얼음이 아스팔트 위를 마치 코팅한 것처럼 뒤덮어 도로에 얼음이 없는 건조한 검정색 상태로 보이는 현상을 의미한다.
특히 제설 작업을 위해 도로 위에 뿌린 염화칼슘이 눈과 결합하게 되면 도로 위에 남아있던 수분이 도로 표면을 미끄럽게 하는 슬라이딩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블랙아이스 현상이 잦아진다.

블랙아이스는 도로와 비슷한 색을 띠고 있어 육안으로는 도로가 살짝 젖어 있거나 진하게 도장된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빙판길임을 인지하지 못한 운전자가 속도를 줄이지 않고 블랙아이스 구간을 지나면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2012년 12월 14일 김포시에서 25중 자동차 추돌사고, 같은 달 21일에는 전북 군산에서 14중 자동차 추돌사고가 발생하여 많은 인명피해가 있었다. 또한, 2008년에도 12월 8일 충북 보은에서 20중 자동차 추돌사고가 발생한 사례가 있었다. 이런 겨울철 대형 교통사고는 대부분 빙판길에서 발생하였는데, 앞서 나열한 사고들은 모두 비가 내리는 날 발생된 빙판길 사고들이다

차량운전자들은 겨울철 산모퉁이, 고가 위나 아래, 교량 위, 터널의 시작과 끝나는 지점, 해안도로, 절개지도로, 그늘진 곡선도로, 저수지 부근 등 도로보다 온도가 5도가량 낮은 곳에 블랙아이스 현상이 두드러지고 기온이 낮은 겨울철 아침 출근시간에 블랙아이스가 많이 생긴다.

겨울철 도로 곳곳에 도사리고 있는 블랙아이스로부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안전운전 요령을 숙지하여야 한다.

첫째로 빙판길에서는 급출발, 급가속, 급제동, 급회전은 절대 하면 안된다. 급작스런 조작을 한다면 차량은 쉽게 미끄러져 스핀현상이 발생하므로 운전자는 여유를 가지고 운전해야 한다.
둘째로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을 유지하고 특히 노후타이어는 위험하다. 또한 주행 시 타이어가 미끄러져 공회전 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동거리를 줄일 수 있는 스노우체인을 장착한다.
셋째는 엔진브레이크를 활용한다. 운행중 예상치 못한 블랙아이스를 만나 당황하여 풋브레이크의 사용으로 스핀현상이 일어나 핸들이 통제 불능상태로 빠져 위험해지므로 한 단계 낮은 기어를 넣는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하여 점차 감속한다.
넷째로 운행중 불가피하게 차가 미끄러지면 미끄러지고 있는 쪽으로 핸들을 조작하여 구동력이 작동할 수 있게 한다.

블랙아이스는 보행자들에게도 위협적이다. 낙상에 의한 인적 사고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보행자들도 보행 시 그늘진 곳은 피하고 손을 주머니에 넣지 않고 걸어야 한다. 만약 미끄러져 넘어질 때 중심을 잃게 된다면 큰 부상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결빙과 대설 등 위험기상이 우리의 교통안전에 위험요소로 부각되는 겨울이 얼마 남지 않았다. 블랙아이스의 위험성과 특성을 평소에 잘 숙지하여 안전운전에 꼭 참고하여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