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도 외면…정부기관 수돗물 음수대 ‘0’
상태바
환경부도 외면…정부기관 수돗물 음수대 ‘0’
  • 광주타임즈
  • 승인 2015.08.24 18: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수기 운용 등에 3804만원 지출, 수돗물比 20배↑
“수돗물 음용 확산, 정부기관부터 솔선수범 해야”

[사회=광주타임즈]입법·행정·사법부 등 중앙 정부기관을 통틀어 수돗물을 음용하고 있는 청사는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환경운동연합·녹색소비자연대 등 71개 시민단체의 연대 협의체인 '수돗물시민네트워크'는 24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기관과 전국 광역지자체 청사 32곳의 수돗물 음용 현황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수돗물시민네트워크가 지난 6월9일부터 이달 14일까지 2달 동안 진행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와대 및 중앙 행정청사, 국회, 헌법재판소, 대법원과 전국 고등법원을 비롯한 전국의 정부기관들은 청사 내에 수돗물 음용시설을 1대도 갖추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정부기관은 수돗물 대신 정수기 또는 생수 공급기를 설치, 사용하고 있었다.

특히 수도정책을 총괄하고 '수돗물 사랑마을' 행사 등을 추진하며 수돗물 음용을 적극 권유해온 환경부에서도 수돗물 음수대 대신 생수보급기를 비치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정부기관이 정수기 운용이나 생수 구입을 위해 지출한 예산도 적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음용수 지출 예산을 제출한 사법기관의 경우 생수·정수 음용을 위해 2015년 상반기에 근무인원 1인당 평균 만5680원씩 총 3804만원을 추가로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돗물시민네트워크는 이 추가 비용이 개인들이 수돗물로 음용수를 사용할 경우 지출해야하는 금액의 20배를 웃도는 규모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정부기관의 음용시설 관리 실태도 부실한 것으로 조사 과정에서 드러났다.

국회는 정수기 24대와 생수보급기 3대를 운용하고 있다고 답변했으나, 수돗물시민네트워크가 현장 방문한 결과 모든 의원실에 정수기가 있어 총 300대 이상, 생수보급기는 100대 이상 비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청사 중 서울·광주·대전·울산 등 4개 청사만이 수돗물 음수대를 비치해 중앙기관과 대조를 이뤘다고 수돗물시민네트워크는 밝혔다.

장재연 수돗물시민네트워크 공동대표는 기자회견에서 "수돗물정책의 주무부처인 환경부의 수돗물 음수대 설치 '0대'는 현 정부의 수돗물 음용에 대한 인식을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이필구 수돗물시민네트워크 집행위원은 "공공재의 중요성을 알리는 데 정부기관이 솔선수범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 조사를 통해 드러났다"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이 집행위원은 "정부가 국민에게 '안전하니 마시라'고 얘기만 할 것이 아니라, 정부기관부터 (수돗물을) 마시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수돗물 음용 확산에) 효과적일 것"이라고 당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