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를 편리하게 이용하는 샘과 우물
상태바
지하수를 편리하게 이용하는 샘과 우물
  • 광주타임즈
  • 승인 2018.04.24 18: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고=광주타임즈] 前 영암 신북초등학교 교장 정 기 연=물을 이용하려고 인간은 하늘에서 내린 빗물을 모아 이용하고, 지하로 스며들어 땅속에서 흐르는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다. 강수량이 적은 사막지방은 지하수가 노출되어 물이 고인 곳을 오아시스라 하며 식물이 자라고 사람이 거주하고 있다.

인류는 물을 식수와 농업 공업용수로 사용하기 위해 저수지를 만들고 강을 막아 뎀을 만들어 이용한다. 지하수를 이용하려고 땅을 지하수가 흐르는 곳까지 파고 내려가 고인 물을 퍼 올려 사용하는 것을 우물이라 하고. 지하수가 노출되어 흐르는 것을 샘이라 한다.

이처럼 샘과 우물은 지하수를 이용하지만, 우물은 지하수 물을 퍼 올려야 하는 수고로움이 있으나 샘물을 그냥 떠서 이용하는 편리함이 있고 계속 흐름으로 산골짜기 옹달샘은 새로운 물이기 때문에 깨끗하고 맑은 물을 이용하는 식수 샘물이다.

우물물의 퍼 올리는 수단으로 도르래를 이용한 타래박이 있었으며 작두펌프와 전기 모터를 이용해 물을 끌어 올려 이용하며 농업용수로 이용하는 지하수 우물을 관정이라 하는데 전기 모터 장치가 있어야 한다.

우물은 전기를 이용해 편리하게 이용한다. 물을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해 상수도 장치를 하며 높은 곳에 있는 물의 수압은 수도꼭지에서 물이 잘 나오게 한다. 아파트는 옥상에 물탱크를 만들어 저장된 물의 수압을 이용하고 있다.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원리를 이용해 산골짜기 샘물을 편리하게 이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이용하고 있는데 관광지 등산을 가면 샘물을 파이프로 유입하여 돌 구멍에서 물이 나오게 하는 장치를 하여 이용하게 한다.

필자는 샘물을 편리하게 이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실천하여 많은 사람이 지나는 길가에 샘에서 나온 물을 편리하게 이용하게 했다. 샘물을 이용한 수도 장치를 하려면 먼저 샘물이 나오는 곳을 찾아야 하며 그 샘은 어떤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 샘이라야 한다. 지난해 가을은 심한 가뭄으로 수원이 약한 샘물은 나오지 않았다.

이때를 이용해 샘물이 나오는 곳을 찾았으며 그곳에서 나오는 샘 주변을 정리해 물이 한곳으로 모이게 했고 그곳에 플라스틱 상자를 넣고 그 상자에 고인 물을 PVC 호수 관으로 연결해 수도 장치할 곳까지 물을 유입했다. 수압을 높이기 위해 관의 굵기를 처음은 25mm에서 20mm로 했고 마지막에는 수도관의 굵기인 16mm로 해서 물이 나오는 곳은 자연석 암석에 구멍을 뚫어 돌 구멍에서 물이 나오게 했다.

이번에 만든 샘 장치는 3곳의 샘을 발견해 3곳에 만들었으며 샘과 수도꼭지까지 거리는 50m에 두 곳, 350m 거리에 한 곳에 설치했다. 깨끗한 옹달샘 물이 계속해서 수도꼭지에서 나오고 있어 행인들이 편리하게 이용하고 있다.

어떤 일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꾸준히 하고 있으면 그에 따른 방법이 생기고, 그것을 행동으로 옮기면 우리 생활이 편리하게 된다. 필자의 고향은 무안군 몽탄면 사천리며 그곳에 산소가 있고 감나무 과수원이 있는 데 갈 때마다 물이 없어 식수를 가지고 가는 번거로움이 있어 샘물을 이용해야겠다는 꿈같은 생각을 했으나 행동으로 옮기지 못했으나 이번에 여러 차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실천하여 흐뭇한 베푸는 성공감을 느끼고 있다.

자연상태로 방치한 깨끗한 샘물을 편리하게 이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실천하여 많은 사람이 편리하게 이용하게 했으면 한다. 산이 많은 우리나라 농촌은 산골짜기마다 샘이 있으나 샘물을 편리하게 이용하는 시설이 없다. 농촌에서 샘물을 편리하게 이용하는 시설을 지방복지 차원에서 시행하여 샘물을 편리하게 이용하게 했으면 한다.

발명가의 꿈이 이루어져 발명품이 되어 인류가 편리하게 이용한다. 이스라엘 민족의 조상인 아브라함은 종족을 이끌고 이동하면서 가는 곳마다 우물을 팠으며 그 우물은 그곳을 떠난 후 다른 종족들이 편리하게 이용했다 한다. 지하수인 샘과 우물을 개발해 편리하게 이용하게 하는 것은 베푸는 즐거움이며 후손을 위한 선진국 복지 시설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