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불은 대비부터, 큰 불에는 대피부터
상태바
작은 불은 대비부터, 큰 불에는 대피부터
  • 광주타임즈
  • 승인 2021.02.22 11: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주타임즈]무안소방서 예방홍보팀장 김현수=지난 1월 말, 소방공무원을 지망한 21세 청년이 아파트 복도에서 발생한 화재에 적절한 대처로 많은 칭찬을 받고 있다. 119 신고, 주민들을 대피시키고, 이 후 10여분 동안 옥내소화전을 열어 화재 진압에 성공했고 그 와중에 검게 그을린 얼굴과 유독가스를 마셔 호흡곤란의 고통으로 잠시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 안정을 취했다고 한다. 함께 사는 세상에서 칭찬받아야 마땅하지만 한편으로는 걱정도 된다.

그 동안 화재가 발생하면 직접 불과 맞서 싸우는 교육을 해 왔다. 소화기와 옥내소화전과 같은 초기 화재진압을 위주로 교육을 해 왔다. 시대상을 반영한 교육이었기 때문에 틀렸다고 볼 수도 없었다. 부족한 소방 인프라가 그 원인이었지만 환경이 많이 바뀌었다. 통신수단의 다양화, 소방 능력의 양과 질적 향상, 그리고 실험과 연구를 통한 행동 변화를 요구할 만한 결과물들이 나오고 있다.

최악의 화재를 가상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 대형 화재에 탈출하는 데 3분이 소요된다는 연구결과가 있었다. 순수하게 대피에만 소요된 시간이며, 타 행동을 추가하지 않은 것이다. 화재 시 사망원인 1순위는 연기이다. 화재 시 가구들과 같은 연소물질은 순수 목재보다 접착제와 같은 화학물질을 포함하여 열분해로 고체입자나 숯, 검댕, 미지의 가스로 호흡 곤란과 의식 소실을 가져오며, 시야 확보을 어렵게 한다. 사람에게 5m의 시야확보면 초당 1m를 이동할 수 있지만, 2.3m의 시야 확보면 이동능력이 초당 0.4m로 줄어든다. 시야 확보가 곤란하면 대피가 곤란해진다.

화재 시 수건에 물을 적셔 호흡하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우리가 있는 공간에 늘 있는 21%의 산소는 화재 시 3분 30초만에 마른 수건의 도움을 받으면 산소 농도 6.4%의 산소를 얻지만, 젖은 수건은 18.8%의 산소를 호흡할 수 있다. 젖은 수건 수분은 호흡에 필요한 필터 역할을 해주기 때문이다. 피난에 필요한 최소 산소 농도는 15% 이상이 필요하다. 단순히 옷깃에 입을 막게 되면 짧은 시간만을 버틸 수 있다. 화재 시 복잡한 구조나 밀폐된 장소에 있다면 더더욱 신속한 대피가 필요하다.

아파트 화재는 12~18시 사이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사망자는 0~6시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화재 인지가 늦어진 상태에서 대피로 이어지지 못하고 사망에 이르는 것이다. 늦은 상태에서도 그 동안의 일반적인 교육을 받은 경우 화재진압과 같은 초기 대응을 한다면 대피가 더욱 늦어질 것이다. 소화기 1대로 소화가 가능한 경우에는 소화가 먼저지만, 진압 불가한 경우 대피가 먼저이다. 지금부터라도 무조건 화재 시 행동 우선 순위를 대피 먼저로 바꾸는 것은 실제 상황에서 당황스럽지만, 대피를 먼저 생각해야 할 이유가 많아졌다.

대피에는 비상구와 계단을 이용한다. 그 경로상에 장애물이 있으면 대피하는데 지체되며, 엘리베이터는 화재 시 굴뚝효과로 절대 이용하면 안된다. 옥외 피난이 어려우면 옥상에서 구조를 기다려야 한다. 그마저 힘들다면 외부와 창문으로 연결된 보호받을 수 있는 공간을 찾아야 한다.

‘불나면 대피먼저’ 캠페인과 더불어 소방에서는 아파트 경량칸막이, 대피공간, 완강기와 같은 피난시설이나 도구들 사용법을 홍보하고 있다. 2007년 이후 10층 이상 새로 지어지는 아파트에는 제연설비가 포함된 특별피난계단이 설치되었다. 초기엔 품질 문제가 있었지만, 최근 지어지는 아파트 제연설비 신뢰성은 높아졌고 이용자 의식도 한결 성장했다. 계단실과 통로는 깨끗해지고 개방된 방화문도, 고정용 까치발도 사라졌다. 창문도 연기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폐쇄되거나 고정창으로 설치되었다. 청소년 탈선의 장으로 폐쇄를 고집했던 옥상으로 나가는 문 역시 화재 시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바뀌고 있다. 오래된 아파트도 이 흐름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2017년부터 의무화된 소화기, 감지기와 같은 주택 기초소방시설 설치 조기 완료와 공동주택에서는 가족과 같이 정확한 탈출 지점을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자. 작은 시간 투자로 가정 안전지수가 ‘확’ 올라간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