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상봉 정례화’ 명문화하자
상태바
‘이산상봉 정례화’ 명문화하자
  • 광주타임즈
  • 승인 2014.02.19 19: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주타임즈] 편집국장 김미자 = 남북 이산가족은 민족사적 비극이다.

그 눈물겨운 비극적 상봉은 오늘부터 25일까지 1·2차로 나눠 60여 년동안 헤어졌던 가족과의 만남을 가진다.

지난해 북한이 이산상봉이 갑자기 연기되는 바람에 이산가족들의 가슴은 시커멓게 타들어 갔다.

남북 인도주의적 사업인 이산상봉을 놓고 북한이 정략적으로 이용한다는 비난도 쏟아졌다.

이런 상황에서 남북이 이산상봉을 하자고 합의한 만큼, 남북관계 개선의 물꼬가 트이길 기대하는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다.

이산상봉을 계기로 남북 간 신뢰를 쌓는 튼튼한 토대가 형성되길 바라는 것이다.

전쟁으로 인해 생이별을 해야만 했던 고령 이산가족의 아픔을 그 누구보다 잘 안다면, 이산상봉을 이제는 정략적으로 이용해선 안 된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산상봉 이후 남북은 구체적인 의제를 놓고 밀고 당기기를 할 것으로 보인다.

당장 북한이 “통 크게 양보했다”고 한 발언에서 보듯, 주요의제를 테이블에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주시하게 되는 점은 상봉 장소가 `금강산 지구’라는 것이다. 중단 6년에 접어들고 있는 `금강산 관광’ 재개 문제와 맞물릴 수밖에 없다. 이 난제를 풀어내는 계기가 돼야 한다는 것이 국민적 바람이다.

우리 정부도 남북 정상회담이나 남북경협 재개, 비무장지대(DMZ) 세계평화공원 조성 등을 의제로 꺼내며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본격적인 시동을 걸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의제는 그러나 하루 이틀에 해결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서로 진정성을 토대로 대화의 ‘불씨’를 살려 나갔을 때 가능하다.

이는 지속적인 대화가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그렇지 않고 남북이 의제에 대한 입장차로 또다시 냉각 국면으로 들어가서는 안 된다.

대립과 갈등을 이어온 남북관계에 따뜻한 봄바람이 불길 바라는 국민의 기대를 꺾지 말아야 한다.

이제 남북은 대립과 갈등을 끊고 차근차근 신뢰를 형성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그 신뢰의 물꼬를 트는 첫걸음이 이번 이산상봉이 되길 바란다.

그래서 이번을 계기로 이산상봉의 정례화를 명문화하자.

2010년 추석인 최근까지 이산가족 상봉자는 남측 1874명, 북측 1890명에 불과하다.

우리 측은 상봉 신청자 12만 9264명 가운데 1.4%만이 북측의 그리운 가족·친척들을 만났다. 5만 7784명은 이미 고인이 됐다.

남아 있는 7만 1000여명 중 절반 이상이 80세 넘는 고령자다.

상봉이 어렵다면 생사라도 확인하거나 편지교환을 통해 최소한이나마 혈육의 정을 나누도록 해줘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