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기념식 다시 파행…민주화 근본 위협
상태바
5·18 기념식 다시 파행…민주화 근본 위협
  • 광주타임즈
  • 승인 2013.05.18 10: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수정당 집권 후 왜곡·폄훼 논란 가속
[광주=광주타임즈] 이현규 기자 =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3년 만에 다시 파행을 겪는 등 질곡의 소용돌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보수정당 집권 이후 5·18민주화운동은 끊임없이 폄하 논란과 왜곡에 시달리고 있어 민주화운동의 근본 마저 위협을 받고 있다는 지적이다.

18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제33주년 기념식은 '임을 위한 행진곡' 논란속에 관계자들이 대거 불참하면서 파행을 빚었다.

이날 행사의 파행은 '임을 위한 행진곡' 논란을 제공한 국가보훈처와 정부가 자초했다는 지적이다.

국가보훈처는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거부 이유를 "일부 노동·진보단체에서 민중의례시 애국가 대신 불려지고 정부 기념식에서 참석자들이 일어나 주먹을 쥐고 흔들며 부르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밝혔다.

이는 국가보훈처와 정부가 민주화운동의 역사와 의미를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의미로도 해석되는 부분이다.

부당한 국가권력에 항거하는 과정에서 약자인 시민들이 총칼을 든 공권력 앞에서 불끈 쥔 주먹을 흔들며 노래를 부를수 밖에 없는 현실을 애써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임을 위한 행진곡'이 5·18민주화운동의 역사와 같다는 점에서 이를 배제할 명분이 없다는데 여야 정치권 모두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국가보훈처와 정부의 시각이 옹졸하다는 비판까지 제기되고 있다.

5·18민주화운동은 한국 현대사는 물론 동아시아 민주주의 확산에 자양분 역할을 했다는 역사적 진단에 따라 국가기념일로 지정되고 그 기록물이 유네스코에 등재되기까지 했다.

하지만 유독 이명박정부와 박근혜정부에서만은 5·18민주화운동이 홀대와 폄훼 논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3년 전인 2010년 이명박 정부 당시 제30주년 기념식도 '임을 위한 행진곡' 때문에 파행을 빚었다.

당시 5월단체와 유족들은 망월동 구묘역에서 별도의 기념행사를 치러 정부 주관 기념식 7년만에 기념행사가 '두 쪽'으로 갈라졌었다.

국가보훈처는 30주년 기념식에서 경기지방의 흥겨운 민요인 '방아타령'을 연주하려다가 "역사인식이 천박하다"는 비난에 시달렸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2008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한 뒤 4년 동안 단 한 차례도 방문하지 않았다.

한편 국가보훈처는 국민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필요성이 있다는 등의 이유로 33주년 기념식 이후 '임을 위한 행진곡'의 공식 기념곡 지정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방침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